연재를 마치며

연재를 시작하면서 마지막 문장을 먼저 생각한다고 했었다. ‘미라에게.’ 이렇게 끝낼 수 있을까라고도 했다그렇게 끝내지는 못했으나 대신 해피 엔딩이라는 단어를 썼다써놓고 끝을 내면서 또 생각한다그럴 수 있을까.

 

이 소설을 시작한 것이 대여섯 해 전의 일이다쓰고 고치고 다시 쓰고 지우고 그러는 동안정작 이 소설의 주인공들이 아니라 이름조차 등장하지 않는 그 주변인에게 더 마음이 가게 되었다미라는 처음 구상 단계에서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인물이다그러나 등장하지 않는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닌 사람들, ‘같잖은 이야기에서조차 거론되지 못하지만 실은 더 상처받고 있는 사람들이름 없는 사람들그런 사람들에게 마음이 가는 순간그 마음이 견딜 수 없는 지경이 되어버렸다그래서 미라 얘기를 먼저 써서 책으로까지 냈다보실 마음이 있으실지는 모르겠으나그 책 제목을 말씀드려야겠다현대문학에서 먼저 출간된 벚꽃의 우주무죄한 사람의 이야기를 그 소설에서 썼다.

 

이 소설은 그러면 유죄인 사람들의 이야기인가어떤 이야기도 그렇게 간단히 정의되지 않는다는 걸 안다내 소설은 언제나 그런 것처럼 질문일 뿐이다.

해피 엔딩이라니정말로 그럴 수 있을까이토록 긴 글을 써놓고 나서 나는 또 그걸 묻고 있다.

 

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.

 

김인숙